어느 직장 어느 누구에게나 잊혀지지 않는 선배가 있기 마련이다.
나에게도 오래전 퇴임하신 과장님들 중에 기억에 남는 분이 있어 이따금씩 직원들과 선배 얘기를 할 때면
이분들의 얘기를 무용담처럼 들려주곤 한다.
그 중의 한 분은 내가 복지부서에서 과 서무를 담당할 때 모셨던 윤과장님이시다.
평소에도 조용하고 온화한 성품으로 부하 직원들을 사랑으로 보살펴 주시던 분으로, 과장님께서는 우리들의
실수로 상사로부터 호된 질책을 받았을 때에도 얼굴색 한 번 바꾸시는 일이 없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처음엔
아무도 알아차리질 못했었다.
나중에야 이런 사실을 알게된 직원들이 미안한 마음에 더욱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오히려 큰소리를 내는 것 보다 몇 배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과장님 평직원 시절의 이야기이다.
과장님께서는 사업부서에서, 친구분께서는 회계부서에 근무를 하고 있었단다.
공사 자재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하자가 있어 감사에 지적을 받게 되었는데, 둘이서 서로 "내가 잘 못한 일이다"라고
주장하는 바람에 감사관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지 곤란한 지경에 빠지고 말았다.
결국 그 감사관은 내무과장에게 찾아가 '내 잘못도 남에게 미루는 판인데 이런 아름다운 동료애가 어디 있겠느냐"며
간단한 주의 정도로 마무리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친구분도 역시 후배 직원들로부터 존경받는 과장님이셨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90년대 말 부여지역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모사건이 있었는데 당시 나는 그 업무의 실무자였다.
몇 개월을 사법기관으로 출퇴근하다시피 하던 긴긴 날들의 조사가 끝나갈 무렵 수사관 한 분이 나에게 말했다,
돌아가면 과장님 잘 모시라고.
알고 보니 장과장님께서 직원들은 아무 잘못이 없으니 당신 혼자서 책임을 지게 해 달라고 눈물로 하소연
하더라는 것이었다.
물론 과장님이나 우리 실무자들이 책임질만한 부정한 일들이 있었던건 아니지만 엉뚱하게도 지역 정치 싸움에
휘말린 사건이었기 때문에 과장님께서 위기의식을 갖고 부하직원들만이라도 살려 보겠다고 하신 말씀이라
생각하니 순간 찡한 전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공직 생활을 해 오는 동안 가끔은 이분들을 생각하며 나 자신을 다잡아 보곤 한다.
똑같은 상황에서 나도 그렇게 할 수 있을지. 그러나 아직도 쉽게 흥분하고 마는 내 말 한마디, 내 행동 하나 때문에
상처받는 동료들이 많은 것 같아 미안할 따름이다.
작금의 우리 사회현상 또한 마찬가지다.
분명 소시민의 눈으로 봐도 무언가 잘못되어 가는 일들이 많은 것 같은데 누구 한 사람
" 다 내 잘못이오" 하는 이 없으니 그 선배님들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새삼 그리워진다.
올 해엔 우리 모두가 "내 탓이오!" 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집 "나그네" (0) | 2014.03.31 |
---|---|
추억의 계백장군 동상 (0) | 2014.03.14 |
빵터진 이야기 (0) | 2013.09.23 |
기회를 살릴 줄 알아야 (0) | 2013.06.19 |
눈물, 그것은-- (0) | 201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