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글 모음

지나친 이기주의

서해안 나그네 2012. 3. 14. 23:55

 

지난 9월 5일, 부여군은 부여5일장을 현재의 백강공영주차장 주변으로  옮겼다.

전국 1천6백10여개 시장과 치열한 경쟁을 거친 결과 전국에서 4곳을 뽑는 문화관광형시장 조성사업

선정되어 그 공사를 시행하기 위한 부득이한 조치였다.

2010년 10월까지 재건축 공사를 마무리하여 명실상부한 백제왕도 부여의 관광특화시장을 국내외에 선보인다는 야심찬

계획 아래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새로 개장한 5천6백여 평의 임시 시장에는 이미 기존 점포와 3백 5십여 명에 달하는 노점상들이 입주하여 활발하게 영업을

해 오고 있는 등 짧은 기간 안에 전통 5일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상인과 노점상들이 이전을 반대, 전노련과 연계하여 장날마다 행정기관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그 동안 노점상들과 공생 해 온 도로변 상가 소유자들이 상권이 위축된다는 이유로 30~40명의 외지 노점상들을 엄호하면서

조직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장날이면 기존 장터는 텅텅 비어 있는데도 일대의 도로는 걸어 다니기에도 힘들 정도로 혼잡하기 이를 데 없었다.

기존 상가는 상가대로 도로에 물건을 내놓기 일쑤이고 나머지 공간은 노점상들이 다 차지해 버리는 바람에 차량통행은 물론

어느 한 곳에서 화재라도 발생한다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상황의 연속이었다.

심지어 상가 주인은 자신의 건물 앞에서 장사하는 대가로 자릿세를 받는가 하면 노점상들간에도 불법 점용한 도로에 대하여

일반인이 알면 깜짝 놀랄 정도의 상당한 금액의 권리금을 받고 팔아 넘기는 일들이 벌어져 왔음은 공공연한 비밀로 알려져 왔다.

게다가 기존의 상가 상당수는 국공유지에 불법건축물을 점유하고 있는 자들임에도 불구하고 목소리는 더 크게 내고 있다.
옛날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물을 팔아먹었단 소린 들어봤어도 벌건 대낮에 공공 도로를 자기들 마음대로 팔고사고 한다는 소린 듣도 보도 못한 일이다.

참으로 기막힐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먹이사슬 때문에 이들이 그 무모한 짓을 그만두지 못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물론 그동안 이러한 불법 행위를 방치하여 그것들이 관행처럼 여겨져 오게끔 한 행정기관의 책임 또한 크다.

모든 불법 행위는 그때그때 근절하지 못하면 이런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인 것이다. 개인 이기주의가 팽배한 우리같은

사회풍토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그렇다고 잘 못된 것을 영원히 가지고 갈 수는 없는 법, 어느 기회가 주어지면 그것을 계기로 바로잡아 나가야함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번이 바로 그 기회인 것이다.

김무환 군수도 강력한 법질서 확립 의지를 천명하고 있다.  내년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결코 쉽게 내릴 수 있는 결정은

아니었을 텐데,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사법기관에서도 법질서 확립을 위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잘 하고 있다." "속이 시원하다" 라는 군민들의 격려전화도 많이 걸려오고 있다.

누가 뭐래도 그들의 시위 및 주장은 명분이 없는 것이다.
노점 행위를 아예 하지 말라는 것도 아니고 1년 정도만 임시시장에 가 있으면 새롭게 단장한 광장에 다시 입점을 시켜준다는 게 군의 방침이다.

사전에 충분한 홍보와 권유도 했다.

이에 부응하여 3백5십여 노점이 이미 임시시장으로 이전했다.  그럼에도 소란스러운 장날을 지켜보는 많은 군민들은

"노점상 대부분이 외지인들이고 불법 도로 점거에 세금도 내지않고 영업하는 사람들인데 시위집회까지 한다니 공권력이 너무 무른 것 아니냐?" 면서 그런 사람들한테 놀아나는 몇몇 부여군민이 더 안타깝다고들 말하고 있다.

전국노점상총연합회의 행동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미 임시시장으로  이전한 3백5십여 노점상들은 노점상이 아니란 말인가.
그들의 권리는 무시하고 몇몇 소수의 불법 노점상만을 위하여 만들어진 단체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의 상가들도 이제는 욕심을 버리고 대의를 생각하여야 한다.

지금 당장은 상권이 위축될 수도 있겠지만 어느 정도의 기간이 경과하면 오히려 더 상권이 살아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은 절대적으로 차량통행이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보다 나은 서비스 개선 등 기존의 영업 방식에서 벗어나 보려는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언제까지 노점상에 의지하여 살아갈 것인가

군민들도 좀 멀고 불편할지라도 정규시장을 이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라 사는 사람이 없으면 불법 노점상은 저절로 없어지게 마련이다.

그 조그마한 실천 하나가 지역의 질서를 바로잡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음을 명심했으면 한다.


21C 부여신문 2009.11.26일자 독자칼럼 게재

'지난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인삼창 견학  (0) 2012.03.16
부여 관광의 전령사  (0) 2012.03.15
무서운 사람들  (0) 2012.03.14
어느 상인의 삐뚤어진 양심  (0) 2012.03.13
경기 부양책의 양면성  (0) 201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