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쪽짜리 삶의 지혜

꿀벌 군집 붕괴현상

서해안 나그네 2013. 6. 17. 22:39

 

 ▶ '꿀벌 군집 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 은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꿀벌種의 소멸 현상을 말함

 

     -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들이 벌집으로 돌아오지 않아서 벌집에 남은

       여왕벌과 유충 그리고 미성숙한 벌들까지 떼로 죽는 현상

 

 

▒ 꿀벌의 실종은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2006년 미 펜실베니아주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매년 세계적으로 꿀벌의 개채 수가 25% 정도

     감소하고 있음

 

  ▶ 미국은 2012년 기준 31% 감소(USDA  ARS), 유럽은 22%의 꿀벌 군집이 사라지고,

      영국은 25년 동안 절반으로 감소

 

  ▶ 한국도 '낭충봉아부패병' 과 '미국 부저병'으로 꿀벌과 유충이 집단 폐사

      (2010년 말 기준 토종벌 76.7% 폐사 - 농축식품부)

 

▒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 살충제, 휴대전화 전자파, 기생충과 바이러스 감염,

    유전자 조작식물, 벌통의 잦은 이동과 밀집사육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이 폐사 원인으로 제기

 

 ○ 농약과 영양실조, 이동식 양봉업으로 인해 꿀벌이 받는 새로운 종류의 스트레스가 꿀벌군집붕괴현상의 가장 큰 원인

 

  ▶ 휴대폰 등 이동통신 기기의 전자파가 꿀벌의 이상 행동을 유발, 정상적인 군집생활을 망쳐 꿀벌이 떼죽음

 

  ▶ 유럽에서는 곤충에만 작용하는 살충제의 무분별 사용으로 꿀벌의 신경계를 교란시켜 죽음에 이르게 함

 

 

▒ 꿀벌은 식물을 번식시켜 생태계 유지.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음

 

 ○ 곤충을 매개로 受粉하는 '충매화'의 약 80%는 꿀벌에 의존

 

   ▶ 다른 벌이나 곤충과는 달리 꽃가루를 같은 종의 식물에게만 옮겨 주기 때문에 수분 성공률이 월등히 높음

 

   ▶ 꿀벌이 수분시키는 식물은 약 17만 종.  이 중 4만 종은 꿀벌이 없으면 아예 수분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짐

 

 ○ 꿀벌은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 작물 중 71종의 수분 작용을 도움(FAO)

 

 ○ 꿀벌이 세계 농업에 기여하는 경제적 가치는 2,030억 달러

 

   ▶ 미국에서 꿀벌의 꽃가루받이 활동에 의지하는 농업은 200억 달러로 추산(USDA)

 

   ▶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16개 과수, 채소작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꿀벌이 기여하는 가치가

        6조원으로 분석됨(농촌진흥청)

 

▒ 꿀벌이 살 곳을 잃으면 식물은 열매를 맺지 못하고, 이는 농업과 식량 위기로 직결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으로

    세계 각지에서 꿀벌을 살리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

 

 ○ EU는 2013년 4월 꿀벌의 개체 수 감소  원인으로 살충제를 지목

 

   ▶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3종에 대해 사용금지 조치.  2013년 7월부터 향후 2년간 적용될 예정

 

 ○ 미국 농무부도 꿀벌이 질병과 기생충, 살충제, 먹이 부족, 종의 다양성 부족 등으로 인한 생존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노력

 

   ▶ 2000년대부터 코넬대와 공동으로 꿀벌 실종의 원인을 분석중

 

 

                                                           #이삼섭 실장(농업경제연구소)#

'1쪽짜리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가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  (0) 2013.08.07
이상적인 직장이 갖춰야 할 조건  (0) 2013.07.16
마지막 여행  (0) 2013.05.22
나는 술 몇 단?  (0) 2013.05.20
공자의 다섯 가지 사람 분류법  (0) 2013.05.09